2024년 최저임금이 9,860원으로 확정이 되었습니다. 사실상 주휴수당까지 더하게 되면 시급 1만원이 넘어가는 시대에 들어와 있다고 보셔도 되겠습니다. 알바 또는 파트타임만 열심히 해도 충분히 먹고 사는데에는 지장이 없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주휴수당에 대해서 생소하시거나 계산방법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이 있을 수 있어, 오늘은 2024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아래의 주휴수당 계산기를 통해서 시급제 (파트타이머) 아르바이트의 경우와 일용직 근로자, 월급제 근로자의 주휴수당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뜻
일하기 전에 반드시 챙겨야 하는 것이 ‘근로계약서‘ 입니다. 그리고 일하면서 챙겨야 하는 것이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주휴수당에 관한 내용이니 아래의 설명을 통해서 주휴수당에 대해서 잘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주휴수당이란?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근로자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1주일 동안 출근하여 근무하는 경우 주 1회 이상의 휴일을 부여해야 하는 것이 원칙인데, 이때 유급으로 지급하는 수당이 주휴수당 입니다. 일주일에 40시간 미만 주5일 근무하는 근로자라도 주 15시간 일을하면 시간에 비례하여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주휴수당 수령 대상
- 정기근로 아르바이트 (파트타이머)
- 월급제 근로자
- 일용직 아르바이트 (파트타이머)
※ 주휴수당 실수령액?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평균 15시간 이상 일을 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지급하는데, 하루치 임금액을 주휴수당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하루에 7시간씩 근무하는 경우에는 7시간에 대한 임금을 주휴수당으로 받을 수 있는 것 입니다.
📌 주휴수당을 지키지 않는 고용주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여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은 고용주가 계산해서 지급하기 때문에, 은행에서 돈을 뽑고 제대로 돈이 인출되었는지 세보면서 확인하듯이, 내가 받은 주휴수당이 맞게 들어온 것인지 확인을 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서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주휴수당 계산방법
- (1주 근로시간/40시간) X 8시간 X 시급 = 주휴수당
예를 들어 만약 시급이 9,900원인 사람이 1주일에 18시간 일을 한 사람이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의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18시간/40시간) x 8시간 x 9,900원 = 주휴수당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고용노동부의 주휴수당 계산법 민원에 대한 답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