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법)

2024년 최저임금이 9,860원으로 확정이 되었습니다. 사실상 주휴수당까지 더하게 되면 시급 1만원이 넘어가는 시대에 들어와 있다고 보셔도 되겠습니다. 알바 또는 파트타임만 열심히 해도 충분히 먹고 사는데에는 지장이 없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주휴수당에 대해서 생소하시거나 계산방법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이 있을 수 있어, 오늘은 2024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바로가기

주휴수당 계산기

아래의 주휴수당 계산기를 통해서 시급제 (파트타이머) 아르바이트의 경우와 일용직 근로자, 월급제 근로자의 주휴수당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및 예상 월급여 계산기

주휴수당 뜻

일하기 전에 반드시 챙겨야 하는 것이 ‘근로계약서‘ 입니다. 그리고 일하면서 챙겨야 하는 것이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주휴수당에 관한 내용이니 아래의 설명을 통해서 주휴수당에 대해서 잘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근로계약서 작성 가이드 바로가기

📌 최저임금 모의계산기 바로가기

※ 주휴수당이란?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근로자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1주일 동안 출근하여 근무하는 경우 주 1회 이상의 휴일을 부여해야 하는 것이 원칙인데, 이때 유급으로 지급하는 수당이 주휴수당 입니다. 일주일에 40시간 미만 주5일 근무하는 근로자라도 주 15시간 일을하면 시간에 비례하여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주휴수당 수령 대상

  • 정기근로 아르바이트 (파트타이머)
  • 월급제 근로자
  • 일용직 아르바이트 (파트타이머)

※ 주휴수당 실수령액?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평균 15시간 이상 일을 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지급하는데, 하루치 임금액을 주휴수당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하루에 7시간씩 근무하는 경우에는 7시간에 대한 임금을 주휴수당으로 받을 수 있는 것 입니다.

📌 주휴수당을 지키지 않는 고용주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여 받을 수 있습니다.

✅ 주휴수당 관련 근로기준법 확인

✅ 임금체불신고 바로가기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은 고용주가 계산해서 지급하기 때문에, 은행에서 돈을 뽑고 제대로 돈이 인출되었는지 세보면서 확인하듯이, 내가 받은 주휴수당이 맞게 들어온 것인지 확인을 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서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주휴수당 계산방법

  • (1주 근로시간/40시간) X 8시간 X 시급 = 주휴수당

예를 들어 만약 시급이 9,900원인 사람이 1주일에 18시간 일을 한 사람이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의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18시간/40시간) x 8시간 x 9,900원 = 주휴수당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고용노동부의 주휴수당 계산법 민원에 대한 답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 주휴수당 계산방법 FAQ 바로가기

Leave a Comment